지금까지 직장 다니고 사업 하고 뭐 이러면서 꾸준히 넣고 있는 국민연금. 처음에 넣을 때는 나중에 잘 받겠지...하는 마음에 넣었는데 지금은 언제 받겠나? 이런 생각도 듭니다.



그나마 꾸준하게 넣기만 하면 나중에 은행 예금보다는 많이 나온다고 하니 거기서 위로를 받고는 있습니다. 


매달 넣고 있는 국민연금을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받을 때는 언제 받는지, 그리고 얼마를 받는지가 궁금하다면 직접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군요.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 가능 나이 및 수령액 미리 알아보기로 간단히 포스팅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 가능 나이와 수령액 미리 조회해서 알아보는 방법


참고로 국민연금은 보통 노령연금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1. 수급개시연령 (수령 가능 나이) 


수급요건은 10년(120개월) 이상 가입했을 경우 가능합니다. 최소가입기간이 10년인 것이죠. 


수급개시연령은 나이별로 조금씩 다릅니다.


2020년 기준으로는 


1952년생 이전 : 60세 수령

1953년부터 1956년생 : 61세 수령

1957년부터 1960년생 : 62세 수령

1961년부터 1964년생 : 63세 수령

1965년부터 1968년생 : 64세 수령

1969년생 이후 : 65세 수령    


지금 30대, 40대 젊은 층은 65세부터 수령 가능하다고 보면 되겠네요. 단, 지속적으로 수령 시기가 변경되고 있으니 앞으로도 변경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받을 때는 연령도달연도의 생일 다음달부터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한 번 받기 시작하면 평생 받을 수 있습니다.

 



 2. 수령액 조회 방법 


먼저 아래 링크된 국민연금공단의 내 연금 사이트로 들어가 주세요.


https://csa.nps.or.kr/main.do




팝업 창이 뜨는데요, 2020년의 기준으로 평가된 금액이라고 합니다.


만약 2021년 기준으로 확인하려면 적용 시점에 공지한다고 하네요. 참고해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국민연금 예상액' 메뉴로 들어갑니다.




자신의 주민번호를 넣고 공인인증서 로그인이나 브라우저 로그인, 카카오페이 로그인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해 조회하면 됩니다.




인증하기 전에 인증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해야 합니다.




결과가 나왔습니다.


만60세까지 계속해서 가입했을 때의 예상금액입니다.


중간에 잠시 못낸 적도 있고 지금 급여도 최저금액 기준으로 잡혀 있다 보니 금액이 높지는 않습니다. 


지금 납입하는 금액 기준으로는 67만원 정도네요. 아마도 월급여가 높은 분은 100만원 이상 지급받을 수 있을겁니다.


나이가 늘어나면 조금씩 수령 나이도 늘어날 것 같아서 불안하긴 하네요.


아직 넣어야 하는 기간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동안은 열심히 일해서 납입해야 하겠죠.




만약 미가입자이거나 앞으로 넣었을 때를 예상해서 조회하고 싶은 분은 


내 연금 사이트에서 상단의 재무설계 -> 국민연금 알아보기 -> 예상연금 모의계산


이렇게 들어가면 모의 계산으로 금액을 산출해 볼 수 있습니다. 인증과정이 필요하지 않아서 간단하게 계산해 보기 좋네요.


이상 국민연금 수령 가능 나이 및 수령액 미리 조회해서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