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box One X를 구매한지도 몇 달이 지났네요. 그동안 정말 열심히 게임을 즐겼고 거실이나 방으로 기기를 옮기면서 원하는 장소를 선택해 플레이 하는 즐거움을 누렸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누군가 TV를 보고 있을 때 Xbox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었는데요, 이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게 바로 스트리밍이라고 하더군요.


Xbox를 플레이 할 때 윈도우10을 사용하는 노트북이나 PC에서는 누구나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Xbox 기기를 켜고 화면은 모니터나 TV가 아니라 다른 방에 있는 노트북 화면으로 보면서 플레이 하는 것이죠.


그리고 컨트롤러도 노트북에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므로, 게임기 본체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상관없습니다.




Xbox를 노트북에서 플레이 하는 스트리밍 연결법


준비물: 윈도우10이 설치된 노트북, 무선공유기(되도록 5GHz지원), Xbox 본체와 컨트롤러. (반드시 노트북과 게임기 본체가 같은 인터넷 환경에 있을 것)


* 먼저 컨트롤러는 블루투스 설정에서 디바이스 추가로 연결해 주는데, 이때 반드시 디바이스 유형을 Bluetooth로 선택해 뜨는 Xbox Wireless Controller를 선택해 주세요. 아래쪽의 기타 모든 디바이스에 있는 Xbox 컨트롤러가 아닙니다.


위 방법으로 컨트롤러가 먼저 연결되어 있어야 기기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며 게임 컨트롤이 가능해집니다.


  


1. 노트북 바탕화면에서 왼쪽 메뉴 창을 열어 Xbox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이때 게임기 본체도 전원을 ON 해서 기기를 켜 줍니다.




2. Xbox Live에 로그인하라는 메시지가 뜨면 자신의 엑박 계정과 암호를 입력합니다. 골드 가입 유무와는 상관없습니다.




3. 로그인한 후에는 연결되었다는 표시가 뜹니다.




4. 프로그램 홈 화면에서 자신의 엑스박스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여기서 왼쪽 메뉴 라인의 아래쪽에 있는 기기 아이콘을 클릭해서 '연결'을 선택합니다.




6. 장치 추가에 현재 연결된 XboxOne 기기를 선택해 줍니다. 기기가 떴을 때는 따로 IP 주소를 적을 필요는 없습니다.




7. 잠시 후 연결이 되면 '스트림' 표시가 뜹니다. 여기를 클릭.




8. 노란색 연결 화면이 뜬 후 바로 Xbox의 홈화면을 볼 수 있으면 연결된 것입니다.




9. 게임 선택 후 플레이해서 테스트해 봅니다. 저는 GTA 5를 플레이해 보았네요. 100MB 무선 환경에서는 아주 원활하지는 않았습니다.


되도록 인터넷 회선은 기가급 이상, Xbox 기기 본체는 유선으로, 노트북은 무선으로 연결하거나 유선으로 연결하는 게 속도 면에서는 유리합니다.






게임을 스트리밍 하기 전에 미리 스트리밍 테스트를 해 보면 현재 자신의 회선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연결 후에 Xbox프로그램 실행화면상에서 


설정 -> Xbox One -> 스트리밍 품질에서 비디오 인코딩 레벨을 낮음, 중간, 높음, 매우 높음 등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게임플레이 도중에도 품질은 바꿀 수 있으니까 원활하지 않다면 품질 변경을 통해서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좀 더 자세한 도움말과 세팅 환경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아래 스샷에 링크된 Microsoft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연결하는 방법은 주로 내부 스트리밍을 이용할 때 사용됩니다. 


만약 자신의 사무실이나 스타벅스 등 외부에서 스트리밍하고 싶다면 윈도 환경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 있는 XOON을, 아이폰, 아이패드 등의 애플 제품인 경우에는 OneCast라는 어플을 이용하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 어플을 이용하는 방법은 추후 또 시간나는 대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위에서 설명해 드린 Xbox를 노트북에서 플레이 하는 스트리밍 방법을 참고하셔서 엑스박스와 노트북을 연결해 즐거운 게임생활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